본문 바로가기
정보 알림/경제

결혼 축의금 봉투, 이름과 금액 제대로 쓰는 법 총정리!

by ab.GOLD 2025. 7. 11.
반응형

💌 결혼식 축의금, 어떻게 써야 할까요?




결혼식에 초대받으면 기쁜 마음으로 축하 인사를 전하지만, 막상 축의금 봉투를 쓰려면 고민이 시작됩니다.

“이름은 어디에 적는 게 맞을까?”, “금액은 어떻게 써야 할까?”와 같은 사소하지만 중요한 질문들이 생기죠.

이 글에서는 결혼 축의금 봉투를 예의 바르게 작성하는 법을 하나씩 정리해 보았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도, 다시 확인하고 싶은 분도 꼭 한 번 읽어보세요!


✉️ 축의금 봉투는 어떤 걸 써야 할까?


✅ 전통 봉투

흰색 봉투에 금색 또는 붉은색 테두리가 둘러져 있는 전통 스타일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앞면에는 ‘축 결혼’이나 ‘결혼 축하’라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어요.

✅ 시중 봉투

요즘은 문구점, 편의점, 다이소 등에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축의금 봉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문구가 ‘결혼 축하’라는 점! 문구가 잘못된 건 예의에 어긋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 봉투 겉면에 이름 쓰는 법


✅ 누구 이름을 써야 할까?


축의금을 전달하는 사람의 이름을 씁니다.
  • 개인일 경우: 본인의 이름
  • 가족 단위일 경우: 가장의 이름
  • 부부인 경우: 두 사람의 이름을 함께 써도 됩니다. 예) 김민수·이영희


✅ 이름 위치는?

봉투 앞면 정중앙에 세로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한글로 “김민수”라고 또박또박 적으면 됩니다.
전통 예식이 아닌 경우 가로로 써도 무방합니다.

✅ 이름 쓸 때 주의사항
  • 띄어쓰기 없이 붙여쓰기: 김 민 수(X) → 김민수(O)
  • 가족 명의일 경우: 박철수 외 가족
  • 직장 또는 단체명: 00회사 일동



💰 봉투 안쪽 금액 쓰는 법


✅ 금액은 어디에 적나요?

금액은 봉투 안쪽에 따로 넣는 종이 또는 메모지에 적습니다. 봉투 겉면에는 금액을 적지 않습니다.

✅ 금액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 한글 표기 예시
- 금 십만원정
- 금 이십만원정
- 금 삼십만원정

이처럼 “금 ○○만원정” 형태로 깔끔하게 적습니다.
'정'자는 끝맺음을 의미하며, 격식을 갖춘 표현입니다.


📝 축의금 봉투 작성 꿀팁!
  • 봉투와 글씨 색상 조화 고려하기: 흰 봉투에는 검은 펜이 무난합니다.
  • 이름은 선명하고 또박또박: 너무 작거나 흐리게 쓰지 않도록 주의
  • 봉투에 스티커나 장식은 자제: 최대한 깔끔하고 정돈된 인상이 좋습니다
  • 실수가 생기면 새 봉투로 교체: 지워서 다시 쓰는 건 피해주세요.



✅ 요약 정리
  • 축의금 봉투는 ‘결혼 축하’ 문구가 있는 것으로 선택
  • 이름은 봉투 앞 정중앙에 세로쓰기
  • 한글로 “김민수” 식으로 띄어쓰기 없이 작성
  • 금액은 봉투 안 종이에 “금 ○○만원정”으로 표기
  • 글씨는 정갈하고 깔끔하게!

💬 마무리 한마디

결혼이라는 소중한 순간에 전달하는 축의금은 단순한 돈이 아닌, 진심 어린 마음입니다.

작은 부분까지 예의를 갖춰 봉투를 준비하면, 받는 이도 분명 당신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이번 기회에 제대로 된 축의금 봉투 작성법을 익혀두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