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알림/경제

[부산 폭우 침수] 사상~하단선 공사장, 빗물 유입에 현장 마비

by ab.GOLD 2025. 7. 15.
반응형
부산·경남 ‘물폭탄’ 강타…
도시철도 공사장 침수부터 주민 대피까지,
예고된 인재?




2025년 7월 13일부터 14일 새벽까지 부산과 경남 지역을 강타한 폭우는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도심 기능을 마비시키는 ‘물폭탄’ 수준의 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공사 현장은 빗물에 침수됐고,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이 숙박업소로 긴급 대피하는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특히 예보된 기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공공기관과 시공사의 대처는 매우 미흡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는 무엇을 놓쳤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되짚어봐야 합니다.


✅ 1. 사상~하단선 공사장 침수…예보에도 대비는 없었다

가장 큰 화제가 된 곳은 부산 사상구 괘법동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공사 구간이었습니다.

새벽 1시 16분경, 자재 반입용 출입구로 폭우가 쏟아지듯 유입되며 현장이 침수됐습니다.

> “공사 중 출입문을 닫을 수 없었다”는 부산교통공사의 해명은 결국 '시민 안전보다 공정 우선'이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말았습니다.



해당 지역은 구조물 공사가 완료된 상태라고는 하나, 비 예보가 있었던 상황에서 기초적인 방수·배수 시스템조차 작동하지 않았던 점은 명백한 책임 회피로 보입니다.


✅ 2. 사상·사하·부산진구, 누적 강수량 집중

이번 폭우로 사상구는 192.5㎜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부산 내 가장 많은 비가 내린 지역으로 집계됐습니다.

다음으로는 ▲사하구 178.5㎜ ▲부산진구 171.5㎜ ▲중구 160.3㎜ 순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산소방본부와 경찰청에는 각각 89건, 97건의 침수·사고 신고가 접수되었으며, 침수와 도로 유실, 하천 범람 등 피해가 연쇄적으로 발생했습니다.


✅ 3. 도로는 '위험 지대'…포트홀·맨홀 역류까지

감전동 부산새벽시장 인근 도로에서는 약 10cm의 단차 포트홀이 발생했고, 맨홀 역류 현상도 곳곳에서 나타났습니다.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는 포트홀 주변을 굴착해 빗물받이 누수를 원인으로 확인했고, 현재는 ‘물다짐 공법’으로 응급 복구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시민 입장에서는 예측 가능한 피해조차 반복되는 현실에 대한 피로감이 큽니다.


✅ 4. 총 48곳 통제, 주민 60명 긴급 대피

폭우는 단순한 교통 불편을 넘어 주민 대피 사태로까지 확대됐습니다.

부산 동구·부산진구 등에서는 주택 침수와 옹벽 붕괴 위험으로 인해 60여 명의 주민이 인근 숙박업소로 임시 대피했습니다.

또한 지하차도·산책로 등 총 48곳이 일시적으로 통제되었습니다.


✅ 5. 경남지역도 ‘물폭탄’…거제 242㎜, 정전·교통사고 속출

부산뿐 아니라 경남 전역도 비상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거제 서이말은 242㎜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하며 최대치에 도달했고, 밀양 단장면(167.2㎜), 김해(161.6㎜) 등도 대규모 침수 피해를 겪었습니다.

1. 창원 마산합포구: 빗길 차량 전도 사고 (2명 부상)
2. 밀양 삼문동: 아파트 전기실 침수로 소방 긴급 출동
3. 진주 명석면: 나무 전도 사고로 안전조치
4. 경남 전체: 세월교 111곳, 도로 27곳 등 총 221곳 통제



⚠️ "예보된 폭우…정작 준비는 없었다"

가장 안타까운 사실은 이번 피해 대부분이 예보된 기상 정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전 대응이 부실했다는 점입니다.

1. 자재 반입 출입구 차단 안 됨
2. 구조물 방수 설비 미비
3. 도로·배수 시설 유지관리 부족
4. 지역 주민 대피 시스템도 소극적 대응



이런 점에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人災)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 정리 요약
최다 강수량: 부산 사상구 192.5㎜
피해 현황: 부산 180건 이상 침수·도로 피해
주요 사고: 공사장 침수, 포트홀, 맨홀 역류 등
주민 대피: 60명 이상 임시 숙소로 대피
경남 피해: 거제 242㎜, 밀양·김해 등 포함 총 221곳 통제




✅ 마무리 한마디

기후위기가 일상화된 지금, '비가 온다'는 예보는 더 이상 변수가 아닙니다.

반복되는 폭우와 침수 피해 속에서 시민의 안전은 그 누구보다 우선시되어야 할 가치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도시 기반 시설에 대한 전면 점검과 공공기관의 대응 시스템 개편이 시급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