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알림/경제

한강 요트 화재! 반포대교 폭발음 뒤 6명 전원 대피…30분 만에 완진

by ab.GOLD 2025. 8. 9.
반응형
한강 반포대교 요트 화재,
폭발음과 함께 번진 불길…
6명 전원 무사 대피



📰 한강 야경 속에 번진 불길

서울 한강은 여름밤이면 야경과 바람을 즐기러 나온 시민들로 붐빕니다.

하지만 8월 8일 밤, 반포대교 인근 수면 위에서는 평화로운 풍경과는 전혀 다른 긴박한 장면이 펼쳐졌습니다.

오후 8시 45분경, 강 위에 정박해 있던 요트에서 갑작스럽게 불길이 치솟았고, 잠시 후 “꽝” 하는 폭발음이 한강변을 울렸습니다.


🚨 탑승객 6명, 신속한 대피

당시 요트에는 총 6명이 타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불길이 선체를 집어삼키기 전, 전원 자력으로 탈출해 큰 부상을 피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현장에서 응급조치를 진행했으며, 모두 경상으로 확인됐습니다. 인명 피해가 없었다는 점이 그나마 큰 위안입니다.


🔥 소방당국, 30분 만에 진압

신고를 접수한 소방당국은 차량 19대와 소방인력 61명을 긴급 투입했습니다.

수상 화재 진압용 장비를 갖춘 구조보트가 현장에 도착해 화재와의 사투를 벌였고, 약 30분 만인 오후 9시 16분경 불길은 완전히 잡혔습니다.

화염은 강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번졌지만, 빠른 대응 덕분에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 목격자들이 전한 긴박한 순간

현장에 있던 시민 목격자들은 “폭발음이 너무 커서 고개를 돌려보니 요트가 불에 휩싸여 있었다”며, “10분도 채 안 돼 거의 전소되는 모습을 봤다”고 전했습니다.

많은 시민이 휴대폰으로 상황을 촬영했고, 해당 영상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로 급속히 확산됐습니다.


🔍 화재 원인, 현재 조사 중

현재 소방당국은 정확한 발화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전기 계통 결함, 연료 누출, 조리나 난방 기구 사용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공식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한강 수상레저 안전관리의 허점이 드러난 만큼, 향후 규정 강화와 안전 점검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 안전 수칙, 다시 한 번 점검해야

이번 사고는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줍니다.

수상레저 이용 시 꼭 지켜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출항 전 장비 점검(전기·연료·엔진 상태)
2. 모든 승객의 구명조끼 착용
3. 소화기 및 비상 탈출 장비 비치
4. 기상 예보 확인 후 운항 여부 결정
5. 비상 상황 시 즉시 신고



📌 이번 반포대교 요트 화재는

신속한 대피와 소방당국의 빠른 대응 덕분에 ‘무사 대피’라는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한강처럼 많은 사람이 찾는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는 단순 사고를 넘어 공공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민과 운영 측 모두가 안전 관리에 더욱 철저히 나서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